일본 영화사의 일본 영화사-제 4 호 (1945 ~ 1960):
< /p>
전후 및 국제 < /p>
일본이 항복한 이후 영화법은 폐지됐지만 엄격한 검사제도는 여전히 존재하고 있다. 다만 미군 점령당국이 정부의 검사를 대체했을 뿐이다. 전쟁과 점령 상태에 몸소 교육을 받은 일본의 양심적인 영화예술가들은 민족 민주적 권리를 지키기 위해 영화 민주화 요구를 제기했고, 1946 년 목하혜개와 흑택명은 먼저 민주사상을 지닌 영화' 대증근가의 아침' 과' 우리의 청춘에 부끄럽지 않다' 를 촬영했다. 이 두 영화의 극본은 모두 전쟁 중에 박해를 받은 장판영지로의 손에서 나온 것이다. 이와 함께 파시스트 암흑시대에 학생운동에 적극 종사했던 이정정도 야마시웅과 팔주리웅의 극본에 따라' 민중의 적' 을 촬영하며 민주화의 길을 중요한 발걸음을 내디뎠다. 한편, 조직상의 보증으로 각 영화 제작소는 잇달아 노조를 설립하여 임금 인상 요구뿐만 아니라 경영관리와 영화 촬영에 대한 민주적 권리를 요구하고 있다. 그러나, 미국 점령자와 영화 독점자본은 민주세력이 발전하는 것을 절대 허용하지 않는다. 1948 년 동보회사는 정돈이라는 이름으로 직원 1200 명을 해고할 준비를 하고 기업 중 * * * 당원 및 진보하려는 인사들을 청소했다. 이 시도는 동보 노조의 반대에 부딪혔고, 전체 직원들이 큰 파업을 벌여 진보문화단체의 지지를 받았다. 파업은 195 일 계속됐고, 결국 미국 점령군의 지시에 따라 항공기, 탱크, 기관총이 장착된 군대가 대거 출동해 동보 노조를 투쟁의 거점인 앤빌 제작소를 포위해 진압했다. 이번 파업은 20 명의 노조 간부가 자동으로 동보회사에서 탈퇴한 것으로 마무리됐다. 여기에는 프로듀서 이토무랑 감독 야마벤사프, 거북정문부, 난전청, 극작가 야마형웅책 등이 포함됐다. 노조 측은 마침내 감원 인원을 최소한으로 줄이려고 노력했다. < /p>
전쟁 후 일본 독립 제작운동이 활발해지면서 1950 년대 중반에 전성기였다. 동보에서 탈퇴한 야마모토사프 등 예술가들은 샛별 영화사를 설립했다. 창작의 자유를 추구하기 위해 송죽회사를 떠난 길촌 공삼랑과 신토 겸인이 근대 영화협회를 조직했다. 이 두 단체는 전후 독립 제작의 선구자가 되어 사회파라고 불리는 현실주의 영화 시리즈를 촬영했다. 주요: 오늘 우물의' 아니, 우리는 살아야 한다' (1951),' 메아리 학교' (1952),' 탁류' (1953),' 여기에 샘물이 있다' (1955),' 어둡다' 야마모토사프의' 진공지대' (1952),' 태양없는 거리' (1954),' 스쿠터의 노래' (1959); 가문이 대치한' 구름 하늘 끝' (1953),' 자매' (1955),' 이복형제' (1959); 관천 수웅의' 들어라, 원혼의 외침' (1950),' 히로시마' (1953); 거북정문부의' 사는 게 항상 좋다' (1956); 길촌 공삼랑의' 여명 전' (1953); 신토 겸인의' 원자폭탄 아래 고아' (1952),' 축소판' (1953); 산촌의 총명한 게공선 (1953 년). 1950 년대 말까지 일본의 영화시장은 전적으로 동보, 송주, 대영, 동영, 일생활, 신동보 6 대 회사가 독점했고, 독립제작이 촬영한 영화는 관객을 만날 수 없는 어려움에 직면했고, 경제적 손실이 심해 독립제작운동 전체가 궁지에 몰렸다. 재능 있는 예술가들이 대기업에 다시 흡수되었다. < /p>
나생문 < /p>
일본이 항복한 뒤 사회적 혼란과 물자가 부족해 영화의 질이 느려져 1949 년까지 점차 부흥의 길로 들어서지 못했다. 대기업들이 진보적인 작품을 찍는 것에 대해 배척적인 태도를 취하고 순오락영화를 대량으로 만드는 데 열중하고 있지만 작품의 예술성을 완전히 방치할 수는 없다. (윌리엄 셰익스피어, 윈스턴, 예술명언) 오진안얼로의' 만춘', 길촌공삼랑의' 한낮의 왈츠', 목하혜개의' 파고', 금정정의' 녹색산맥' 은 모두 1949 년에 촬영됐다. 특히' 파고' 는 풍자코미디 스타일로 일본 영화에 새로운 길을 열었다.
한편 흑택명 감독의' 나생문' (1950) 이 1951 년 베니스국제영화제에서 대상을 수상한 이후 일본 영화는 국제적으로 중시되기 시작했다. 나생문' 에 이어 이삿갓정조의' 지옥문' (1953), 도랑건구의' 서학대녀' (1952) 와' 우월물어' (1953) 도 칸이나 베니스영화제에서 각각 상을 받았다. 1951 년 목하 혜개 감독의' 카르멘 귀향' 은 일본 최초의 컬러 영화였다. < /p>
1949 년 이후 약 10 년 동안 일본 영화의 가장 두드러진 경향은 문예영화의 부흥과 사회문제를 묘사한 작품이 늘어난 것이다. 청희남의' 번개' (1952),' 남매' (1953),' 뜬구름' (1955),' 난폭함' (1957) 은 문예영화의 가작으로 꼽힌다. 한편, 6 대 기업들도 관객들의 감상 수준 향상에 압박을 받아 성취한 감독들에게 의미 있는 예술작품을 찍으라고 요청해야 했다. 오진안지로의' 맥추' (1951),' 도쿄물어' (1953),' 다른 해안 꽃' (1958); 도랑 건이씨의' 근송물어' (1954); 흑택명의' 생존' (1952),' 일곱 무사' (1954),' 거미줄 궁전 요새' (1957); 목하의' 일본의 비극' (1953),' 스물 네 눈' (1954),' 산절시험' (1958); 길촌 공삼랑의' 밤의 강' (1956); 오늘 유정의' 재회 전' (1950); 시천쿤의' 후투씨' (또' 아프', 1953),' 소실' (1958); 다섯 곳의 평평한' 굴뚝이 무성한 곳' (1953); 도요타 사랑의' 부부 선야' (1955) 등은 모두 높은 평가를 받았다. 이에 따라 영화평론가들은 이 영화들과 독립제작의 진보적인 일련의 영화들이 일본 전후 10 년 영화의 황금시대를 형성했다고 보고 있다. < /p>
이 기간 (1956 년) 에는 태양족 영화도 등장했다. 주요 작품으로는' 태양의 계절',' 처형의 방',' 미친 열매' 등이 있다. 이런 작품들은 모두 청년 작가 석원신태로의 소설을 각색해' 태양족' (전후 중산층 가정에서 태어난 청년) 의 불량배 생활을 묘사하고 있다. 그들은 명확한 이상도 최소한의 도덕관념도 없고, 목적이 없는 반항과 모든 것에 불만을 표시하는 무정부주의한 행동만 하고 있다. 영화의 중심 내용은' 성과 폭력' 을 보여주는 것 이상이다. 이 영화들이 청년 세대에 미치는 좋지 않은 영향은 엄중한 여론의 질책을 받았다. 따라서 한때 유행했던' 태양족 영화' 는 곧 쇠퇴했다. 물론, 그것의 사회 문제 노출의 영향은 앞으로의 일부 작품에서 여전히 남아 있다. < /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