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 > 일본 탐사선은 3 억 킬로미터 떨어진 소행성에 착륙할 수 있는데 왜 달에 착륙할 수 없습니까?
< /p>
지금까지 달 탐사선을 달 궤도에 성공적으로 발사한 국가는 각각 소련, 미국, 유럽연합, 일본, 중국, 인도, 이스라엘이다. 달에 연착륙을 하는 것, 즉 탐사선이 달에 부딪히지 않고 달에 착륙한 나라는 소련, 미국, 중국뿐이었고, 중국은 달 뒤에서 연착륙을 실현하는 유일한 나라였다. 게다가, 소련, 미국, 중국은 현재 유일하게 달 샘플링을 마치고 돌아오는 나라이다. < /p>
미국은 1958 년 8 월 18 일 세계 최초의 달 탐사선을 발사했지만 실패했다. 당시 소련이 뒤이어 1959 년 1 월 2 일' 달 1 호' 를 성공적으로 발사해 달을 날아갔다. < /p>
(첫 달 탐사선: 달 1 호) < /p>
1959 년 9 월 12 일 소련의 달 2 호 탐사선이 달면을 명중시켜 달면에 도착한 최초의 인공물이 되어 달에 자기장이 없는 것을 측정했다. 1964 년 7 월 28 일, 미국의 배회자 7 호도 달 구름 아이티 지역에 강착륙했다. < /p>
(레인저호 탐사선) < /p>
세계 최초로 달에 연착륙한 탐사선은 소련이 1966 년 1 월 31 일 발사한 달 9 호로 달의 폭풍 바다 근처에 착륙했다. 몇 달 후, 1966 년 5 월 30 일, 미국의' 측량자 1 호' 달 탐사선도 달에 연착륙을 달성했고, 착륙점도 폭풍우 지역에 있었다. < /p>
2007 년 10 월 24 일 우리나라는 창어 1 호 달 탐사선을 성공적으로 발사했다. 일본은 우리보다 조금 앞서 2007 년 9 월 14 일' 달의 여신호' 달 탐사선을 성공적으로 발사했다. 유럽연합은 2003 년 9 월 27 일' 스마트-1 호' 달 탐사선을 성공적으로 발사했다. < /p>
하지만 2013 년 12 월 14 일 우리나라의 창어 3 호는 월면에서 연착륙을 성공적으로 실시하여 세계에서 세 번째로 달에 연착륙을 실현하는 국가가 되었다. < /p>
소행성 탐사 분야에서 탐사선 발사가 소행성에 상륙했고 일본, 유럽연합, 미국만 완성했다. 소행성 샘플링 반환에 관해서는 2022 년 6 월 현재 전 세계 일본만 두 번 성공적으로 완성했다. < /p>
2003 년 발사된 팔콘새호 탐사선은 2010 년 인류의 첫 소행성 샘플링 귀환 임무를 완수했다. 이후 2014 년 발사된 송골새 2 호 소행성탐사선은 지구에서 3 억 킬로미터 떨어진 용궁 소행성 (번호 1999JU3) 으로 2020 년 인류 역사상 두 번째 소행성 샘플링 복귀 임무를 완수했고, 그 주체는 여전히 먼 우주에서 일하며 다음 목표인 소행성 1998KY26 으로 향했다. < /p>
3 억 킬로미터는 얼마나 니까? 지구와 태양의 평균 거리도 1 억 5000 만 킬로미터에 불과하지만, 지구와 달의 평균 거리는 38 만 킬로미터에 불과하다. 지구와 화성 사이의 평균 거리는 약 2 억 2500 만 킬로미터이며, 송골매 2 호가 지나는 거리는 화성에 완전히 도착할 수 있다. < /p>
용궁 소행성은 c 형 소행성, 탄소 소행성이라고도 하며 총 소행성 수의 약 75 를 차지하며 소행성대에 많이 분포한다. 그 자체로는 키가 크지 않고 지름이 약 900 미터 정도 되는 반면, 달의 지름은 3476 킬로미터에 달하며, 그 사이에는 큰 차이가 있다. < /p>
거리가 멀고 키가 작아요! 팔콘새 2 호가 이 3 억 킬로미터 떨어진 곳에 상륙하여 지름이 1 킬로미터도 안 되고 궤도가 그다지 안정되지 않은 소행성은 이치대로 말하면 난이도가 매우 높아야 하는데, 일본이 성공하여 그들의 기술력에 감탄하지 않을 수 없다.
< /p>
일본의 탐사선은 3 억 킬로미터 떨어진 소행성에 상륙할 수 있고, 샘플링도 할 수 있는데, 왜 지구에서 38 만 킬로미터밖에 떨어져 있지 않은 달에 먼저 상륙하지 않는가? < /p>
지난 세기 70 년대쯤 미국 아폴로 유인달 계획에 영감을 받아 일본은 1980 년대에 탐사선 달 착륙 계획을 세웠고, 1990 년 1 월 하늘을 나는 탐사선 (일명 뮤스 -A) 을 발사했지만 달 궤도 부근에 도착한 뒤 연락이 끊겼다. 2007 년에는 일본이 달의 여신호 탐사선을 성공적으로 발사했고, 그해 우리나라의 창어 1 호도 성공적으로 발사했다. < /p>
(하늘을 나는 탐사선 구조도) < /p>
소행성이 모두 상륙했다! 달이 지구에 더 가깝고, 키가 더 크니, 성공하기가 더 쉽지 않겠는가? < /p>
탐사선이 소행성에 성공적으로 상륙한 국가는 일본과 미국뿐만 아니라 유럽연합도 현재까지 유럽연합의 탐사선도 달에 상륙하지 않았다. < /p>
(EU Smart-1 달 탐사선) < /p>
사실 탐사선이 소행성에 착륙하는 것과 달에 착륙하는 것의 어려움은 정말 비교가 되지 않는다. 굳이 탐사선이 달에 착륙하는 것이 소행성에 착륙하는 것보다 조금 더 어렵다고 말할 수 밖에 없다. 결국 소행성에 착륙할 수 있는 나라는 달에 착륙할 능력이 없다. < /p>
탐사선을 발사하여 달 궤도에 도달하여 달을 에워싸는 것은 일본에는 어렵지 않지만, 탐사선이 통제불능이나 통제권이 달 표면에 직접 부딪히는 것이 아니라 달 표면에 연착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그리 쉬운 일이 아니다. 앞서 인도와 이스라엘은 수미 중후인 달에 연착륙을 한 네 번째 국가가 되고 싶었지만 모두 실패했다. < /p>
(인도 월선 -1 탐사선 구조도) < /p>
달의 질량은 소행성보다 훨씬 크고 중력 가속도도 크다. 탐사선이 착륙할 때 하강하는 속도가 매우 빠르다 < /p>
소행성의 중력이 작아 탐사선을 표면에 부착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그리고 거리가 멀기 때문에, 무선 통신에 큰 지연이 있고, 게다가 신호도 약하기 때문에, 심공 통신을 하는 것도 어려운 문제이다. 또한 소행성은 지구에서 멀리 떨어져 태양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어 탐사선의 비행 궤도 제어와 에너지 공급에 대해 더 높은 요구를 하고 있다. 예를 들어 송골새 2 호는 당시 선진적인 홀 추진기를 실었다. (윌리엄 셰익스피어, Northern Exposure (미국 TV 드라마), 스포츠명언) < /p>
요컨대, 양자의 난점은 각기 다르므로, 기술 선진면에서 우열을 가리기는 어렵다. < /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