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아있는 세계를 이해하는 방법
우리가 살고 있는 세계는 이론적으로 무한한 가능성을 지닌 물질세계일 뿐만 아니라 구체적이고 역사적인 현실이기도 함을 알 수 있다.
'거기'는 모두 구체적이지 추상적일 수 없습니다. 우리는 실제로 "무한대"를 "가질" 수 없으므로 우리의 "세계"는 역사적이고 제한적입니다. 즉, 우리 상상 속의 광대한 "천국"이 아니라 경계가 있는 인간 세계입니다. 그러나 '인간'은 자신을 '무'로 만들기 때문에 인간이 세상을 '무엇'으로 만드는 과정은 멈출 수 없고 '탐욕'이라고 비난받을 수도, 차단될 수도 없다. '존재' 자체는 '무한'해야 하고, '무엇이 되도록' 노력하는 것이 미덕이 된다.
이 기본적인 '가짐'은 도구적인 '소유'가 아닙니다. 도구적 '소유'는 다양한 관계 중 하나일 뿐인 반면, 기본적인 '소유'는 기본 관계이다. 우리는 "나에게는 선생님이 있습니다"와 "나에게는 코트가 있습니다"라고 말합니다. 이 두 가지 "가지다"는 의미가 매우 다릅니다. 기본적인 "존재"는 윤리, 도덕, 미학, 예술, 과학, 기술 및 다양한 물질적 소유 분야의 모든 직업적 관계를 탄생시킵니다.
물론 이는 '사람'과 '사람', '사람'과 '사물'의 관계의 차이를 수반한다. 그러나 주종 관계는 특정 사회 발전의 산물이다. 사실 '사람'은 서로 아무런 관계도 갖지 않는다. '사물'의 주인-노예 관계는 특정 사회 단계와 기술 지배의 이데올로기이기도 하다. '사람'과 '사물'의 관계는 주인과 노예의 관계가 아니다. '사람'은 '변화'하고, '사물'도 '변화'는 '사람'이다. '세상'은 딱딱하고 닫혀있지 않지만 '순종'하지도 않습니다. 사람은 세상을 변화시킬 수 있지만 일정한 기준에 따라 세상을 변화시켜야 합니다. "우리에게 주어진 것, 이른바 '자연으로부터의 배움'과 '자연으로부터의 배움'은 주체의 자의성이 아니다. 그래서 이 "갖다"는 "존재"입니다. '사람'과 '세계'가 공존하고, '사람'이 '세계'를 '바꾸고', '세계'도 '사람'을 '바꿉니다'. 이것은 우리가 살고 있는 세상, 우리가 항상 “다루고”(상호작용하는) “세상”입니다. 그것은 나의 “주인”도 아니고 나의 “종”도 아니지만 나의 “이웃”은 하이데거의 비유입니다. 주인과 노예의 관계를 깨뜨리려는 의도로 사용되는 언어입니다.